|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QNA 봇
 - Django
 - P Stage
 - 풀스택
 - BOJ
 - 레벨2
 - 서버
 - Naver boostcamp
 - 4기
 - 2021 Dev-matching 웹 백엔드 개발자
 - 웹 프로그래밍
 - AI Tech
 - 파이썬
 - 장고
 - Customer service 구현
 - boostcourse
 - 서블릿
 - 구현
 - 백준
 - 프로그래밍
 - 부스트캠프
 - 프로그래머스
 - 대회
 - AI Tech 4기
 - 웹
 - cs50
 - 백엔드
 - 네이버
 - sts
 - Naver boostcourse
 
                            Archives
                            
                        
                          
                          - Today
 
- Total
 
daniel7481의 개발일지
20221012 4주차 수요일 회고 본문
반응형
    
    
    
  피어세션
오늘 팀원 분 중 한 분이 Diffusion model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신기한 봇을 소개해줘서, discord에서 직접 해보았다. AI Network DAO에서 만든 Stable Diffusion 모델은 discord text-to-art에 /generate prompt:"cute cat"처럼 "'안에 그림으로 나타내고 싶은 내용을 영어로 적으면 그대로 그려준다. 자세하게 적을수록 더 디테일한 그림이 나온다. 하고 싶은 분들을 위해 주소를 남겨놓겠다.
Join the AI Network DAO Discord Server!
Check out the AI Network DAO community on Discord - hang out with 661 other members and enjoy free voice and text chat.
discord.com

Prompt: "A polar bear standing on the iceberg, iceberg is about to melt down, high detail, Hyper-Realistic"의 결과다
기술이 얼마나 발전했는지 알면 놀라울 정도다. 위 그림은 심지어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았는데도 나온 결과다.
스몰톡
오늘 스몰톡 시간을 가졌다. 몇 분이 나와서 팀원을 구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나도 최종 프로젝트를 좀 생각해봐야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분들은 이미 좋은 아이디어를 구상중이어서 더 그런 생각이 들었다.
공부 회고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Low-level parsing
- Tokenization(i study math가 있으면 단어를 토큰으로 나누는 과정)
 - Stemming(study -> studied -> studying처럼 어미의 변화를 컴퓨터에게 이해시키는 과정, 어근을 추출하는 과정)
 
 - Word and phrase level
- Named entity recognition(고유 명사 인식)
 - part-of-speech tagging(단어가 문장내의 품사/성분을 분석)
 - noun-phrase chunking, dependency parsing, coreference resolution
 
 - Sentence level
- Sentiment analysis(감성 분석), machine translation(기계 번역)
 
 - Multi-sentence and paragraph level
- Entailment prediction(두 문장 간의 모순 확인/ 관계 예측)
 - Question answering(문서 독해를 통한 정답 맞추기)
 - Dialog systems(ex 챗봇)
 - Document summarization(요약)
 
 - NLP에서 text data는 단어들의 집합이고, 모든 단어들은 하나의 벡터로 인식이 된다.
 - 처음에는 RNN기반의 LSTM과 GRU가 많이 활용이 되었으나, 지금은 attention module과 transformer model로 인해 많이 발전하였다.
 - 초기에는 다른 NLP task에 대하여 다른 모델을 사용해야 했다. 지금은 transformer에서 attention을 깊게 쌓고 많은 데이터를 넣어서 자가 진단 학습을 통해 label 없이 전이학습을 했을 떄도 성능이 좋다.
 - NLP 분야에서 연구는 너무나 커진 데이터와 모델 크기로 인해 대기업에서만 이루어진다.
 
반응형
    
    
    
  'AI Tech 4기 > Level1'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21014 4주차 금요일 회고 (0) | 2022.10.19 | 
|---|---|
| 20221013 4주차 목요일 회고 (0) | 2022.10.19 | 
| 20221011 4주차 화요일 회고 (0) | 2022.10.12 | 
| 20221007 3주차 금요일 (1) | 2022.10.07 | 
| 20221006 3주차 목요일 (3) | 2022.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