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서블릿
- 대회
- 장고
- AI Tech
- 레벨2
- 백엔드
- Naver boostcamp
- QNA 봇
- 풀스택
- 프로그래머스
- 부스트캠프
- P Stage
- BOJ
- cs50
- 웹
- 파이썬
- 서버
- 웹 프로그래밍
- boostcourse
- Naver boostcourse
- 네이버
- 프로그래밍
- AI Tech 4기
- Django
- 구현
- sts
- 4기
- Customer service 구현
- 2021 Dev-matching 웹 백엔드 개발자
- 백준
- Today
- Total
목록프로그래밍 (4)
daniel7481의 개발일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sPVa9/btrsXsnh6P1/c7AkSz7oR4RNv7xepVjKV0/img.png)
1. 리다이렉트(redirect) - http 프로토콜로 정해진 규칙이다 - 서버는 클라로부터 요청을 받고, 클라에게 특정 url로 이동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이를 리다이렉트라고 한다. - 서버에서는 클라에게 응답으로 상태 코드 302와 함꼐 이동할 url정보를 Location Header에 담아 전송한다. 클라는 받은 상태값이 302면 Location 헤더값으로 재요청을 보내게 된다. 이 때 브라우저의 주소창은 전송받은 URL로 바뀌게 된다. - 서블릿이나 jsp는 redirect하기 위해서 HttpServletResponse가 가지고 있는 sendRedirect()메소드를 사용한다. 이제 실습으로 redirect01.jsp가 redirect02.jsp로 리다이렉트하는 로직이 실행되게 해보자 먼저 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xCYUA/btrrF5VNiDw/whmRfg7iprDxD5VW9xREqK/img.png)
실제로 내 사이트를 만들어 보면서 모르는 많은 부분들을 배워가며 상당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던 프로젝트였던 것 같다. 정말 간단하고 기본적인 프로젝트지만 맨 처음 만들어낸 프로젝트인만큼 정말 뜻깊다.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대로 최대한 맞춰서 만들어봤다. 네이버 부스트코스 측에서 원만한 학습을 위하여 코드를 배포하거나 하지 말라고 하였기 때문에 완성품만 올리도록 하겠다. 풉하고 비웃을 수도 있을만큼 간단하게 최소한의 성능만을 가지고 있는 웹사이트이다. 그러나 뭔가를 처음부터 끝까지 해냈다는 것에 성취감을 느꼈고, 하나하나 배워나가면서 즐기면서 할 수 있었던 프로젝트인 것 같다. 이제 막 처음 프로젝트를 마무리했고 이제 정말 많은 부분이 아직 남아있다. 앞으로도 지치지 않고 계속 헤쳐 나가자.
마치며 웹 개발의 이해를 마치며 실제 영상 길이는 길지 않았지만 정말 많은 양의 정보를 담고 있었다. 정리가 안된 상태에서 다시 돌아가서 보기도 하고 그랬던 것 같다. 복습하는 겸 중요한 점 몇 가지를 적어보기로 했다. 만약 틀린 개념이 있다면 언제든 지적해주길 바란다. 인터넷 -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로 각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포트를 차지하는데, 웹은 80번이다. 웹은 인터넷에 속해있다. HTTP: 웹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규약)으로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을 따른다. 대표적인 특징으로 무상태(stateless)가 있으며 서버가 요청에 응답하면 바로 연결을 끊는 특징을 의미한다. 장점으로는 불특정 다수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유리하지만 단점으로는 클라의 이전상황을 알 수 없기 때문에 Cookie 등의 기능으..
5)browser에서의 웹 개발 - 1 크롬에서 amazon.com을 들어가고 개발자 도구(윈도우면 ctrl shift i)를 들어가보자. 네트워크에 들어가고 새로고침을 하면 waterfall이 엄청나게 요동치는게 보이는데, 맨 위에 보면 www.amazon.com 이라는 html 문서가 보인다. 이것이 서버가 보낸 첫 번째 응답이다. response칸을 들어가면 html css javascript 코드가 보이는데 자바 스크립트 코드는 압축이 되어 있다. html코드는 meta, script, 등등의 태그가 보인다. meta 태그는 이 문서가 어떤 것인지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것이다. html코드 사이에 CSS와 Javascript코드가 많이 섞여 있다. 살펴보고 깨달은 점: -HTML문서는 html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