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장고
- 백엔드
- P Stage
- 서블릿
- AI Tech
- 웹 프로그래밍
- 백준
- 대회
- Django
- 구현
- Naver boostcamp
- 풀스택
- 네이버
- Customer service 구현
- 2021 Dev-matching 웹 백엔드 개발자
- 프로그래머스
- QNA 봇
- BOJ
- 4기
- sts
- 서버
- 부스트캠프
- cs50
- 레벨2
- AI Tech 4기
- 파이썬
- boostcourse
- 웹
- Naver boostcourse
- 프로그래밍
- Today
- Total
목록AI Tech (21)
daniel7481의 개발일지
피어세션 오늘은 dp 문제 기본 중에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파보나치 수열 문제를 풀었다. 풀이 방법은 다들 알거라고 생각한다. 오늘 기본 과제 제출 날짜이기 때문에 기본 과제 완료 후 제출하고, 남는 시간에 신청한 공모전 자료조사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오늘의 챌린지는 오늘 하루 부덕이를 프사로 하기였고, 나는 슬랙에서 내 프사를 부덕이로 바꿨다. 참고로 부덕이는 AI Tech 부캠의 마스코트다. 피어세션 시간에는 심화 과제 1을 같이 보았다. 문제를 보던 중 Linear Layer에서 bias를 초기화 할 떄 uniform 초기화해줄려고 하였는데, 입력 피처의 개수를 알아야 할 때 parameter의 size의 1번쨰 인덱스를 가져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았다. 입력 피처를 가져오려면 당연히 첫 번쨰 ..
피어세션 오늘 또한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로 아침을 시작했다. leetcode 455.Assign Cookies였는데 정렬을 해준 후에 탐색을 하며 쿠키가 아이 greed에 맞으면 하나씩 더해주는 식으로 풀었다. 다들 데일리 스크럼 시간에 기본 과제1과 과제2를 끝내기로 마음을 먹었고, 빅데이터 분석 준전문가/전문가 등 자격증에 관한 얘기를 나눈 후, 챌린지는 좋아하는 노래 가사 두 줄 쓰기였다. 피어세션 시간에는 과제 1에 대한 질문이 있었는데, torch.tensor과 torch.Tensor의 차이를 물어보는 문제였고, 가장 큰 차이점은 tensor는 함수고 Tensor는 클라스라는 점이었다. 또한 tensor는 dtype이 그대로 유지되는 반면 Tensor는 Tensor.float으로 변환된다는 차이..
피어세션 처음으로 챌린지 불이행자가 나왔다...! 벌칙은 노래 부르기로 정하는 계기가 됬다. 오늘 데일리 스크럼 시간에는 다들 강의 전부 수강과 기본 과제 1 끝내기라는 어마어마한 계획을 세웠다. 이번 주부터 과제가 상당히 많아졌기에 열심히 해야할 것 같다. 국립국어원 인공지능 언어 능력 평가 대회에 다들 참여하고 싶어했다. 일단 각자 맡은 캐글과 대회를 빨리 끝내고 다 같이 참가하기로 하였다. 오늘의 챌린지는 거북목 치료 영상보고 스트레칭하기이다. 자기 전에 하고 자야겠다. 공부 회고 torch.nn.Module로 딥러닝을 구성하는 Layer를 만들어 줄 수 있다. input, output, forward, backward를 정의해주고, parameter 또한 정의할 수 있다. nn.Parameter는..
피어세션 또 일주일이 시작되었다. 오늘은 이번주에 강의들을 확인하고 날짜별로 범위를 정하는 시간을 가졌다. 데일리 스크럼 시간에 각자 오늘 끝낼 부분을 정했고, Pytorch 기본 123강을 완독하고 퀴즈를 끝내기로 하였다. 결과적으로는 강의도 다 보고 기본 과제 1도 조금 시작을 하였다. 오늘 챌린지는 산책하기이다. 하루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있는만큼 운동이 부족할 수도 있기 때문에 좋은 챌린지라고 생각한다. 멘토링 또한 멘토링 시간을 가졌는데, 많은 정보를 들었다. 일단 앞으로 설명해주실 부분을 몇 가지 알려주셨는데, 그 중 담주에 진행할 것은 허깅페이스에서 BERT 뜯어보기이다. 물론 pre-trained 모델을 단순히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지만, 구조를 이해하면 더욱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피어세션 오늘은 내가 모더레이터인 날이었다. 알고리즘부터 질문까지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 떨리기도 했다. 오늘의 문제는 621.Task Scheduler였다. 난이도가 굉장히 있는 문제여서 다른 사람의 풀이를 보고 참고하며 풀었다. 데일리 스크럼 시간에 각자의 공부 목표를 말하고, 챌린지는 내가 제시하였다. 어제 임성빈 마스터님의 조언을 듣고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생각해야 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느꼈다. 그래서 주말 동안 우리 생활 중에서 AI를 접목시킬만한 제품 생각해오기로 하였다. 쉽지 않은 문제라 주말 동안 나도 생각해봐야겠다. 공부 회고 오늘은 BERT와 GPT로 배우는 자연어 처리를 조금 읽었다. transformers의 작동 원리, BERT와 GPT의 tokenizer 원리 등을 배울 수 있었다...
피어세션 오늘 아침 또한 알고리즘 문제로 시작을 하였다. 오늘 문제는 leetcode - 406.Queue Reconstruction by Height이였는데, 정렬과 그리디를 이용해 풀이할 수 있는 문제였다. 데일리 스크럼 시간에 각자 목표를 말하고, 서로 격려를 하며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다. 오늘의 챌린지는 “하늘을 올려다보며!” - 밖에서 하늘 사진 찍고 톡방 인증이다. 아직 완수하지 못했지만 교육이 끝나면 찍으러 나갈 예정이다. 동료 캠퍼 분이 Network Architecture Search에 대한 얘기를 해주었다. 하이퍼 파라미터조정을 딥러닝을 통해 해결하는 연구라는데, 나중에 깊이 있게 읽어 봐야하겠다. 또한 medium이라는 최신 딥러닝 연구 주제가 올라오는 블로그를 추천해주었다. 틈틈이 ..